뻐꾹채

출처 : 국립수목원 어린이 생물도감 API 를 사용 중 입니다.
"뻐꾹채속" ( 0 건 / 총 0 건 )

뻐꾹채 / Rhaponticum uniflorum (L.) DC.

  식물

  뻐꾹채속 / Leuzea

  국화과 / Compositae

요약설명 : 국화과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관화식물이며 우리나라 전국, 중국, 소련, 몽고에 분포한다.
분포지역 : ▶한국, 중국, 소련, 몽고에 분포한다.▶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관화식물이다.
크기 : 높이 30~70cm
꽃색 : 붉은색,자주색
개화기 : 8월,7월,6월
뿌리에서 난 잎이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는다. 밑부분의 잎은 긴 타원형으로 끝이 둔하고 밑부분이 좁다. 잎이 날개깃모양으로 완전히 갈라지고 흰색 털이 빽빽하게 있다. 잎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거나 결각상이다. 줄기잎은 어긋나기하고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작아진다.
꽃은 6~8월에 피며 원줄기 끝에 한 개씩 곧추 달린다. 꽃부리는 붉은자주색이다.
열매는 나무처럼 딱딱한 껍질속에 씨앗이 있는 수과로 긴 타원형이다. 열매에 깃털이 여러 줄 있다.
줄기는 흰색 털로 덮여 있으며 가지 없이 곧게 자란다.
땅속으로 굵은 뿌리가 깊게 뻗어 내려간다.
일명` 멍구지`라고도 하며 잎이 엉겅퀴 잎을 닮았으나 크기가 더 크고 가시가 없으며 전체에 흰털이 나 있어서 쉽게 구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