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귀나무

출처 : 국립수목원 어린이 생물도감 API 를 사용 중 입니다.
"자귀나무속" ( 1 건 / 총 1 건 )
왕자귀나무

자귀나무 / Albizia julibrissin Durazz.

  식물

  자귀나무속 / Albizia

  콩과 / Leguminosae

요약설명 : 콩과 낙엽 활엽 소교목으로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에서 자란다. 중국, 대만, 인도, 네팔, 일본에도 분포한다.
분포지역 : 중국, 대만, 인도, 네팔, 일본; 경기도, 충청남북도, 전라남북도, 경상남북도.
형태 : 낙엽 활엽 소교목.
크기 : 높이 3 ~ 5m.
꽃색 : 보라색
개화기 : 7월
잎은 어긋나고 짝수 2회 깃모양겹잎이다. 작은 잎은 낫처럼 생겼고 원줄기를 향해 굽어 있다. 좌우가 같지 않은 긴 타원 모양이다. 뒷면 맥 위에는 털이 있거나 없다.
꽃은 6~7월에 피고 우산모양꽃차례로 15~20개씩 달린다. 또한 암술과 수술을 모두 갖고 있는 양성꽃이다. 꽃받침통은 잔털이 있고 연한 녹색으로 끝이 뚜렷하지 않게 5갈래로 갈라진다. 꽃잎 전체는 종 모양이고 초록색이며 5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25개 정도이다. 윗부분이 붉은색이고 아랫부분은 하얀색이다.
열매는 평평한 협과이다. 콩깍지 모양의 열매는 겨울 내내 달려 있다. 5~6개의 씨앗이 들어 있으며 9월 말~10월 초에 익는다.
줄기는 굽어 있거나 사선으로 자라며, 약간 드러눕는다. 큰 가지가 드문드문 나와 퍼지고 어린가지는 털이 없으며 모가 진 선이 있다.
뿌리에는 원뿌리와 잔뿌리가 있다.
산기슭 및 계곡의 흙이 깊고 건조한 곳이 좋다. 햇빛에서 자라는 나무이지만 직사광선은 차단해야 하고, 습기가 있으며 식물이 썩어 만들어진 유기물이 많은 땅에서 잘 자란다. 중부를 기준으로 북쪽 지방에서는 추위에 약간하기 때문에 간혹 얼어붙는 경우가 있지만 뿌리에서 새로운 싹이 다시 나온다. 대기오염에 약한 편이다. 씨앗을 뿌려 번식시킨다. 경상남도 울산군 온산면 목도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65호에 지정되어 있다. 이 숲에서는 자귀나무외에 동백나무, 후박나무, 사철나무, 다정큼나무, 송악등이 많고 볼레나무, 벚나무, 개산초나무, 팽나무등이 자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