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나무겨우살이

HOME > PHOTO > 어린이생물도감 > 참나무겨우살이
출처 : 국립수목원 어린이 생물도감 API 를 사용 중 입니다.
"참나무겨우살이속" ( 0 건 / 총 0 건 )

참나무겨우살이 / Taxillus yadoriki (Siebold) Danser

  식물

  참나무겨우살이속 / Taxillus

  꼬리겨우살이과 / Loranthaceae

요약설명 : 꼬리겨우살이과 상록 기생 관목으로 우리나라의 제주도에서 자라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분포지역 : 일본 / 한국(제주도)
형태 : 상록 기생 관목
크기 : 높이 40-60㎝,지름이 1m에 달하는 것도 있다.
꽃색 : 갈색,자주색
개화기 : 10월,6월,7월
잎은 마주나기하거나 어긋나기도 한다. 넓은 타원 모양 또는 달걀 같은 둥근 모양, 거꾸로 선 달걀 같은 둥근 모양이며, 둔두 원저이다.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겉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에 적갈색의 퍼진 털이 촘촘히 나 있다.
10월쯤 2~3개의 꽃자루가 있는 꽃이 핀다. 암술과 수술을 모두 갖고 있는 양성꽃이다. 꽃봉오리는 활처럼 굽으며 꽃덮이는 좁은 달걀 같은 통 모양이다. 겉에 적갈색의 퍼진 털이 있으며 안쪽은 흑자색으로 광택이 난다. 끝이 4개의 주걱모양 조각으로 갈라져서 뒤로 젖혀진다. 수술은 4개이고 꽃덮이의 밑부분에서 마주나기한다. 씨방은 둥근 모양이고 꽃받침 밑에 있다. 암술대는 꽃덮이 통 밖으로 나와서 위로 굽는다.
열매는 장과고 타원 모양이며 겨울을 나고 노란색으로 익는다. 적갈색의 퍼진 털이 있으며 열매의 살은 끈적끈적하다.
구실잣밤나무, 동백나무, 후박나무 및 육박나무에 기생하고 보리수나무와 비슷하다. 겨울에는 새들이 열매를 쪼아 먹기 위해 열매의 살을 파헤친다. 이때에 씨앗이 나무에 붙거나, 새의 똥과 함께 배설된 씨앗이 나뭇가지에 붙어 자연적으로 번식한다. 씨앗은 싹이 튼 후 5년이 지나야 잎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