댕강나무

출처 : 국립수목원 어린이 생물도감 API 를 사용 중 입니다.
"댕강나무속" ( 2 건 / 총 2 건 )
꽃댕강나무
섬댕강나무

댕강나무 / Abelia mosanensis T.H.Chung ex Nakai

  식물

  댕강나무속 / Zabelia

  인동과 / Caprifoliaceae

요약설명 : 인동과 낙엽 활엽 관목으로 우리나라의 평안남도, 충청북도 단양군에서 자란다.
분포지역 : 한국(평안남도; 충청북도 단양군)
형태 : 낙엽활엽관목, 수형: 원개형
크기 : 수고 2m 정도.
꽃색 : 주황색
개화기 : 5월
잎은 마주나기하며 선모양이고 양 끝이 좁다. 겉면은 맥을 따라 갈라진 털이 있고, 뒷면은 굵은 맥 위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와 털이 있다.
꽃은 5월에 피고 잎 달린 자리나 꼭대기에 머리모양으로 모여 달린다. 한 꽃자루에 3개의 꽃이 달리며, 꽃을 감싸는 작은 잎은 창 모양 또는 선 같은 창 모양이거나 송곳처럼 뾰족하다. 톱니는 나있지 않다. 꽃받침통은 잔털이 있다. 꽃받침열편은 5개이고 거꿀피침모양이며, 부드러운 털이 있다. 꽃잎은 연한 붉은색을 띤다. 판통은 가늘다. 5개의 조각은 달걀 같은 둥근 모양 또는 넓은 달걀 모양이고 안쪽에 털이 있다. 수술대에 털이 있으며 암술대는 짧고 털이 없다.
열매는 9월에 익는다. 4개의 날개를 가지고 있으며 하늘을 향해 프로펠러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씨앗은 1개가 있다.
줄기는 높이가 2m에 이르고 얇은 선이 있지만 깊은 홈이 생기지는 않는다. 가지의 속은 하얀색이고 어린 가지에는 털이 있다. 줄기에는 6개의 골이 있으며 새가지는 붉은빛을 띤다. 잔뿌리와곁뿌리가 많이 뻗어 있다.
바위틈이나 골짜기의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자란다. 물 빠짐이 좋고 기름진 땅이 생장하기에 적합하다. 특히 중성 또는 약알카리성 토양에서 잘 자라며 건조에도 잘 견딘다. 씨앗이 잘 맺히지 않으므로 이것을 뿌려 번식시키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적당히 유연한 가지로 꺾꽂이 하는 것이 좋다. 댕강나무는 밑부분에서 여러 개의 줄기가 올라오며 줄기에는 6개의 줄이 패어 있어 육조목(六條木)이란 별명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