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대시호

출처 : 국립수목원 어린이 생물도감 API 를 사용 중 입니다.
"시호속" ( 4 건 / 총 4 건 )
개시호
참시호
시호
섬시호

등대시호 / Bupleurum euphorbioides Nakai

  식물

  시호속 / Bupleurum

  산형과 / Umbelliferae

요약설명 : 산형과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의 강원도 고성군, 속초시, 양양군, 인제군과 충청북도 영동군, 전라북도 무주군에서 자란다. 러시아에서도 볼 수 있다.
분포지역 : 러시아 / 한국(강원도 고성군, 속초시, 양양군, 인제군; 충청북도 영동군; 전라북도 무주군)
형태 : 여러해살이풀
크기 : 보통 8-12cm
꽃색 : 백색
개화기 : 8월,7월
뿌리에서 난 잎은 선 모양이고 7개의 맥이 있다. 줄기잎은 좁으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싼다. 반면 윗부분의 것은 좁고 끝이 뾰족한 창 모양이며 맥이 많고 어긋난다.
꽃을 감싸는 작은 잎은 끝이 뾰족한 달걀 모양이고 3개이다. 꽃은 7~8월에 피고 줄기나 가지 끝에 자녹색 또는 적자색의 우산모양꽃차례가 달린다. 작은 꽃차례는 7~8개이다. 작은 총포 조각은 5개가 있고, 넓은 달걀 모양이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진다. 자주색 점이 있고 꽃자루가 거의 없다. 암술대의 밑부분은 처음에 자주색이지만 점점 적자색으로 변하고, 암술대는 자주색이며 뒤로 말려 있다. 씨방은 긴 타원 모양이며 자주색이다.
열매는 분과고 타원 모양이며 자주색으로 익는다.
줄기는 꽃차례와 함께 높이가 40cm에 달하는 것이 있지만 보통 8~12cm이고 털이 없다.
지하에 있는 뿌리가 굵고 땅 속 깊이 들어간다.
높은 산 정상 근처의 메마른 풀밭에서 자란다. 포기 나누기로는 번식이 거의 불가능하며 씨앗을 뿌리는 것이 적당하다. 높은 산에서 자라는 식물로 꽃의 모양이 독특하다. 환경부에서 한국 특산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국내에서만 자연적으로 자라는 특산 식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