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귀개

출처 : 국립수목원 어린이 생물도감 API 를 사용 중 입니다.

땅귀개 / Utricularia bifida L.

  식물

  땅귀개속 / Utricularia

  통발과 / Lentibulariaceae

요약설명 : 통발과 다년생 벌레잡이식물로 우리나라의 경기도, 전라남도 화순군, 광주시, 울산시 울주군에서 자란다. 일본, 중국, 대만, 말레이시아, 인도에서도 볼 수 있다.
분포지역 : 일본, 중국, 대만, 말레이시아, 인도 / 한국(경기도; 전라남도 화순군; 광주시; 울산시 울주군)
형태 : 다년생 벌레잡이식물.
크기 : 꽃대의 높이 7-15cm
꽃색 : 노란색
개화기 : 8월,9월
잎은 선모양이고 땅속줄기의 군데군데에서 땅 위로 나온다. 색은 초록색이고 밑부분에 흔히 1~2개의 벌레잡이 주머니가 있다.
꽃대에는 몇 개의 비늘잎이 어긋나기하며 달걀 모양 또는 좁은 달걀 모양이다. 또한 얇은 막처럼 되어 있으며 끝이 뭉뚝하거나 뾰족하고 아랫부분에 달린다. 꽃은 8~9월에 밝은 노란색으로 피며 2~10개가 달린다. 꽃턱잎(꽃을 감싸는 작은 잎)은 끝이 뾰족한 달걀 모양이고, 작은 꽃턱잎은 2개이고 선 모양이며 꽃턱잎의 반쯤 되는 길이이다. 꽃자루의 윗부분에 2개의 날개가 있다. 꽃받침은 2개로 갈라지며 꽃받침조각은 넓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둔하다. 또한 꽃받침 조각은 얇은 막처럼 되어 있으며 꽃자루와 길이가 비슷하다. 길고 가늘게 튀어나온 꽃뿔은 밑을 향해 있으며 끝이 뾰족하다.
열매는 삭과고 둥근 모양이다. 씨앗에는 비스듬하게 달린 줄이 있다.
실같이 가느다란 땅속줄기가 땅속으로 뻗으며 벌레잡이 주머니가 군데군데 달려 있다.
습지에서 자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