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년콩

출처 : 국립수목원 어린이 생물도감 API 를 사용 중 입니다.
"만년콩속" ( 0 건 / 총 0 건 )

만년콩 / Euchresta japonica

  식물

  만년콩속 / Euchresta

  콩과 / Leguminosae

요약설명 : 콩과 상록 활엽 관목으로 우리나라의 제주도 남쪽에서 자라며 중국과 일본에서도 볼 수 있다.
분포지역 : 중국, 일본; 제주도 남쪽.
형태 : 상록 활엽 관목.
크기 : 높이 30 ~ 60cm.
꽃색 : 백색
개화기 : 6월,7월
잎은 어긋나고 3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다. 잎자루는 길고, 작은 잎은 타원 모양 또는 거꿀달걀모양이다. 겉면은 짙은 녹색이며 털이 없고 뒷면은 연한 갈색 털이 있으며 흰빛이 돈다.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양 끝이 둥글다.
6~7월이 되면 꽃이 하얀색으로 피고, 원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5개의 톱니와 더불어 잔털이 있다.
열매는 핵과이고 타원 모양이다. 9월에 검은빛이 도는 자주색으로 익는다.
줄기는 밑부분이 비스듬하게 눕고 몇 개의 가지가 나온다.
나무껍질은 흑갈색이며 미세한 털이 있다. 뿌리는 약간 굵다.
햇볕이 전혀 없는 상록수 숲의 북쪽에서 나고 자란다. 가을에 씨앗을 채취하고 잘 고른 다음 뿌린다. 1970년 8월에 김이만옹(翁)이 제주도 서귀포의 돈내코 계곡의 상록활엽수림에서 발견하였다. 만년콩이란 상록을 의미하고 김이만옹의 끝자 만(萬)자를 붙여서 영원히 기념하기 위하여 나무의 이름이 만들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