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점박이바구미

HOME > PHOTO > 곤충도감 > 흰점박이바구미
출처 : 국립수목원 곤충도감 API 를 사용 중 입니다.

흰점박이바구미 / Shirahoshizo insidiosus (Roelofs, 1875)

  (Roelofs)

  흰점박이바구미속

  바구미과

  딱정벌레목

성충의 몸길이는 4.5~8 mm이고, 몸은 암갈색 내지 흑색으로 갈색의 인편으로 덮여 있다. 머리와 가슴, 배에는 흑색의 인편이 있다. 몸 아래, 양 눈 사이, 가슴 등쪽의 정 중앙선 앞뒤, 날개의 기부와 중앙 뒤쪽에 백색의 인편으로 된 무늬가 있고, 날개의 옆에는 담색의 인편을 가지고 있다.

  알은 구형으로 직경이 0.4 mm 가량 된다.

 None

 유충의 몸길이는 약 12 mm이고, 머리는 적갈색, 몸통은 황백색이며, 다리가 없고 복부 쪽으로 굽어져 있다.

 월동한 성충은 4월 중~하순경에 출현하여 수간의 두꺼운 수피 밑에 산란한다. 변재부(邊材部)를 식해하며 성장한 유충은 7월 중순경에 수피 밑에 말굽 모양의 용실을 만들고 번데기가 된다. 신 성충은 7월 하순~11월 상순에 직경 3 mm 원형의 탈출공을 만들고 탈출하며 일찍 탈출한 성충은 산란을 하기도 하나 대부분의 개체는 다음해 봄에 산란을 시작한다. 성충 출현 기간이 길기 때문에 쇠약목이나 고사목의 수피를 벗겨 보면 성충, 유충, 번데기의 각 충태를 볼 수 있다.

 고사목, 벌도목(伐倒木), 벌근(伐根), 쇠약목에 기생한다. 유충이 수피 밑을 식해하므로 기생을 당한 나무는 급속히 쇠약해져 잎이 누렇게 변하고, 진전되면 잎이 갈색으로 변하여 나무가 죽는다. 여름에는 성충이 신초(新梢)를 식해하는데 대발생할 때에는 피해가 크다.

 주로 수피 틈, 지피물(地被物) 밑에서 성충으로 월동하나 때로는 번데기로 월동하는 개체도 많다.

 1,4,7,8,9,10,11

🔽 출처 : 네이버 이미지 검색 API 검색 결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