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5×36cm
한국화
1977
천경자는 전통 채색화의 독자적인 회화양식을 창출한 화가이다. 그는 형식적 전통주의 한계에서 벗어나 채색을 고수하면서도 다양한 조형실험으로 개성적인 화법을 구현하였다. 이 과정에서 유화기법을 동양화 재료에 적용시켰고 색의 중첩에 의한 균질한 화면을 연출함으로써 자신만의 독특한 채색화법을 만들었다. 천경자 회화세계의 의미는 채색화의 명맥을 이어왔다는 점보다 독자적인 해석에 의한 인물의 창조에 있다 . 졸업 후 섬세한 묘사 위주의 사실적 화풍은 1950년대 전반기부터 천경자 자신의 감정과 정서를 투영한 형태와 색채의 상징화가 이루어지며 변화하기 시작했다. 1960년대 초 작품에 자전적 요소가 두드러지기 시작하면서 화려한 꽃으로 둘러싸인 가족과 여인을 소재로 작품을 그렸다. ‘꽃과 여인’이라는 특정 소재가 등장했고 자유로운 구도와 환상적인 화면으로 전환되었으며, 1970년대 초반 무렵부터 초상화 형식의 여성인물화가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1973년작 <길례언니>를 기점으로 동공을 하얗게 칠하고 허공을 뚫어지게 응시하며 우수에 가득 찬 여성인물화가 양식화되었다. 1970년대 중반부터 천경자는 ‘자전적 여인상’, ‘초월적 여인상’으로 주제를 설정하고 작품의 상징성을 도모하였다. 천경자 회화의 상징성은 자신의 삶에 기인한 고독과 한, 내면세계를 표출한 것에서 비롯된다. 천경자 여인상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부분은 눈동자이며, 작가는 눈을 통해서 자신의 내면을 전달하고자 했다. 1980년대부터 대부분의 자전적 여인상은 이국적 소재와 도상이 화면에 재구성되면서, 작가 자신의 삶을 투영시킨 상징이 되었다. 이후 고대 이집트 문명의 내세관을 모티프로 구현되기 시작한 금빛 눈동자와 초월적인 여인상은 1990년대까지 지속된 천경자 회화의 조형언어로 고착되었다. <내 슬픈 전설의 22페이지>(1977)는 고독과 저항, 한을 응축시킨 천경자의 대표적인 자화상이다. 여인은 천경자의 상징인 뱀을 화관처럼 머리에 쓰고, 붉은 장미 한 송이와 함께 우수에 찬 눈빛으로 어딘가를 응시하고 있다. 하얀 동공의 눈동자는 금빛으로 표현했고 푸른빛의 그림자 가득한 눈매는 광기에 찬 매서운 눈초리로 바뀌었다. 더욱 무표정해진 얼굴, 유난히 긴 목의 여인은 강렬하고 섬뜩한 마녀의 모습을 연상시킨다. 여인의 눈동자는 우리를 향해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차원의 세계를 향해져 있다. 이 무렵 천경자는 현실을 너머 4차원에서 온 듯한 초월적인 여인상, 마녀를 투영한 여인상을 그리기 시작했다. 1974년 이집트 파라오 무덤에서 왕들의 이마에 코브라 장식과 다양한 형태의 뱀 그림들을 보고 모티프를 얻었고, 과거부터 현재, 그리고 미래를 넘나드는 구원의 여인상, 영원한 여인을 추구하기 시작했다. 머리 위에 똬리를 틀고 있는 뱀은 고독한 여인을 달래주는 수호신이면서 동시에 천경자 자신이다. 여인은 인생을 체념하고 속죄하는 초월적 태도, 고독과 슬픔, 한을 넘어선 천경자의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