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사메이코 / 천경자

출처 : 서울 연린데이터광장 서울시립미술관 소장품 정보 API 를 사용중 입니다.
천경자는 한국 채색화의 독자적인 회화양식을 창출한 화가이다. 천경자의 회화는 채색화가 대표적이지만 이외에도 기행회화, 수묵담채화, 삽화, 드로잉 등의 작품들도 많이 남아있다....

자세히...

플라사메이코 / 천경자

   33×24cm

   한국화

  
1979

 
천경자는 한국 채색화의 독자적인 회화양식을 창출한 화가이다. 천경자의 회화는 채색화가 대표적이지만 이외에도 기행회화, 수묵담채화, 삽화, 드로잉 등의 작품들도 많이 남아있다. 1969년부터는 30여 년 동안 수차례에 걸쳐 해외여행을 다녀왔다. 기행회화는 해외여행에서 느낀 감흥과 순간을 포착하여 스케치한 후 채색한 그림들로, 해외여행을 통해 이루어낸 천경자 회화의 독립 장르이다. 그는 1979년 인도와 중남미 기행부터 귀국 후에 치밀하고 견고한 채색작업을 거쳐서 기행회화를 완성시켰다. 여행지에서 깊이 새겨진 이미지들을 벗겨내고 화면에 배치하는 과정을 통해 색채는 보다 깊어지고 선명해졌다. 이로써 기행 초기에는 현장 스케치화들이 많은 반면 여행이 거듭될수록 화려한 색감과 환상적인 화면구성이 돋보이는 완성도 높은 채색화로 고착되었다. 이 과정을 통해서 천경자는 기행회화를 단순히 기록화로 보는 개념에서 벗어나 독특하고 신비한 화면을 창출해냈으며, 채색화의 독립된 장르로 완성시켰다. <플라사메이코>(1979)는 멕시코에서 투우경기 장면을 스케치한 작품이다. 천경자는 멕시코에 도착하자마자 투우경기를 관람하기 위해 플라사 메히코를 찾아갔다. 플라사메히코는 세계 최대의 투우경기장으로 멕시코 문화를 상징한다. 지역의 대표적인 풍물과 문화는 놓칠 수 없는 작품의 중요한 소재였기 때문에 투우경기 일정상 관람을 서둘러야 했다. 전경에는 관람객들을 중심으로 시선을 따라가면 원형 경기장 안에 투우사와 소들이 경기를 펼치고 있다. 원근을 강조한 꽉 채워진 관중석 인물들, 날뛰는 소들의 어정쩡한 움직임, 승리를 환호하며 던진 모자들의 표현은 투우 경기의 생동감을 강조해준다. 투우사 복장의 금사 수 장식, 소 안장 등을 섬세하게 채색하여 장식적 요소를 강조한다. 천경자가 빠르게 움직이는 투우사와 소의 움직임을 포착하는 것은 익숙한 일이었다. 귀국 후에 채색작업이 이루어지면서 기행회화가 현장스케치에서 채색화로 전환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투우는 라틴민족의 국기(國技)이며, 최고의 오락이지만, 천경자는 의식이자 예술이라고 생각했다. 천경자는 정열이 넘치는 경기, 무엇인가 설레게 하는 음악, 고전적 의식 등에서 꿈을 꾸는 듯한 인상을 받았고, 이곳에서 여러 장의 스케치를 남겼다.

🔽 출처 : 네이버 이미지 검색 API 검색 결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