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24cm
한국화
1979
천경자는 한국 채색화의 독자적인 회화양식을 창출한 화가이다. 천경자의 회화는 채색화가 대표적이지만 이외에도 기행회화, 수묵담채화, 삽화, 드로잉 등의 작품들도 많이 남아있다. 1969년부터는 30여 년 동안 수차례에 걸쳐 해외여행을 다녀왔다. 기행회화는 해외여행에서 느낀 감흥과 순간을 포착하여 스케치한 후 채색한 그림들로, 해외여행을 통해 이루어낸 천경자 회화의 독립 장르이다. 그는 1979년 인도와 중남미 기행부터 귀국 후에 치밀하고 견고한 채색작업을 거쳐서 기행회화를 완성시켰다. 여행지에서 깊이 새겨진 이미지들을 벗겨내고 화면에 배치하는 과정을 통해 색채는 보다 깊어지고 선명해졌다. 이로써 기행 초기에는 현장 스케치화들이 많은 반면 여행이 거듭될수록 화려한 색감과 환상적인 화면구성이 돋보이는 완성도 높은 채색화로 고착되었다. 이 과정을 통해서 천경자는 기행회화를 단순히 기록화로 보는 개념에서 벗어나 독특하고 신비한 화면을 창출해냈으며, 채색화의 독립된 장르로 완성시켰다. <이과스>(1979)는 브라질 이구아수 강에서 바라 본 이구아수 폭포 광경이다. 이구아수 폭포는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의 국경에 위치해 있으며, 세계 3대 폭포 가운데 하나이다.. 이구아수 강물의 절반가량이 ‘악마의 목구멍(Garganta do Diabo: 포르투갈 어)’이라고 불리는 폭호(瀑湖)로 쏟아져 내린다. 브라질 쪽에서는 조금 멀리 떨어져서 완전한 파노라마를 감상할 수 있다. 천경자는 광활한 자연경관을 완전한 파노라마로 감상할 수 있는 브라질 국경을 선택했다. 장엄하고 거대하게 펼쳐진 이구아수 폭포가 악마의 목구멍 아래로 떨어지는 광경을 클로즈업하여 화면에 담아냈다. 절벽에서 엄청나게 쏟아져 내리는 물은 균질한 붓터치로 채색하였고 수직성을 강조한다. 바위 사이로 굽이굽이 소용돌이치며 흘러가는 물살은 색에 의해 세부묘사가 이루지어고 있다. 엄청나게 쏟아져 내리는 물 위로 뭉게뭉게 피어오르는 물보라 표현은 시각적 즐거움과 생동감을 전달한다. 이 작품은 광활한 경관을 작은 화면에 담아낸 천경자의 탁월한 조형감각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