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27cm
한국화
1979
천경자는 한국 채색화의 독자적인 회화양식을 창출한 화가이다. 천경자의 회화는 채색화가 대표적이지만 이외에도 기행회화, 수묵담채화, 삽화, 드로잉 등의 작품들도 많이 남아있다. 1969년부터는 30여 년 동안 수차례에 걸쳐 해외여행을 다녀왔다. 기행회화는 해외여행에서 느낀 감흥과 순간을 포착하여 스케치한 후 채색한 그림들로, 해외여행을 통해 이루어낸 천경자 회화의 독립 장르이다. 그는 1979년 인도와 중남미 기행부터 귀국 후에 치밀하고 견고한 채색작업을 거쳐서 기행회화를 완성시켰다. 여행지에서 깊이 새겨진 이미지들을 벗겨내고 화면에 배치하는 과정을 통해 색채는 보다 깊어지고 선명해졌다. 이로써 기행 초기에는 현장 스케치화들이 많은 반면 여행이 거듭될수록 화려한 색감과 환상적인 화면구성이 돋보이는 완성도 높은 채색화로 고착되었다. 이 과정을 통해서 천경자는 기행회화를 단순히 기록화로 보는 개념에서 벗어나 독특하고 신비한 화면을 창출해냈으며, 채색화의 독립된 장르로 완성시켰다. <탱고를 찾아서>(1979)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카미니토 거리 풍경이다. 라 보카(La Boca)지구 카미니토(Caminito) 거리는 탱고의 발상지로 환락가였다. 단조로우면서도 애상이 흐르는 탱고는 천경자의 고독과 외로움을 달래주는 삶의 수단이었다. 천경자는 탱고를 스케치하기 위해 아르헨티나로 향했지만 탱고를 제대로 스케치할 수 없었다. 거리 뒷골목은 가난이 묻어났고 판자집 벽에 원색 페인트가 칠해져 있을 뿐이었다. 화려한 색감은 시각적 즐거움을 주고 있지만, 가난한 하층민을 상징하듯 벤치에 고개 숙이고 앉아 있는 사람들 모습에 어두운 그림자가 느껴진다. 스케치 선이 보이지 않을 만큼 짙게 채색되었지만 선적인 요소가 강하다. 이는 판자집 벽면의 슬레이트 같은 굴곡 표현에서 잘 드러난다. 천경자는 벽면을 채색한 후 톤을 바꿔가며 가로줄을 그려 넣었고, 벽면의 음영효과뿐만 아니라 스케치에서 보여주었던 선의 유희와 동일시하고 있다. 반면 인물, 골목길, 하늘 등은 단순한 색면으로 표현하여 형형색색의 건물들과 장식적인 요소를 강조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