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인째즈-뉴올리앙즈-프리저베이션홀 / 천경자

HOME > PHOTO > 서울시립미술관 > 흑인째즈-뉴올리앙즈-프리저베이션홀
출처 : 서울 연린데이터광장 서울시립미술관 소장품 정보 API 를 사용중 입니다.
천경자는 한국 채색화의 독자적인 회화양식을 창출한 화가이다. 천경자의 회화는 채색화가 대표적이지만 이외에도 기행회화, 수묵담채화, 삽화, 드로잉 등의 작품들도 많이 남아있다....

자세히...

흑인째즈-뉴올리앙즈-프리저베이션홀 / 천경자

   24×33cm

   한국화

  
1987

 
천경자는 한국 채색화의 독자적인 회화양식을 창출한 화가이다. 천경자의 회화는 채색화가 대표적이지만 이외에도 기행회화, 수묵담채화, 삽화, 드로잉 등의 작품들도 많이 남아있다. 1969년부터는 30여 년 동안 수차례에 걸쳐 해외여행을 다녀왔다. 기행회화는 해외여행에서 느낀 감흥과 순간을 포착하여 스케치한 후 채색한 그림들로, 해외여행을 통해 이루어낸 천경자 회화의 독립 장르이다. 천경자는 1980년대 들어서면서 문학과 영화예술의 현장을 찾았다. 그가 학생시절부터 가졌던 남다른 취미는 문학작품과 영화를 즐기는 것이었다. 영화, 연극, 유행가, 춤은 세월이 흐를수록 취미를 넘어선 천경자의 예술적 소양이 되었고, 고독한 삶을 위로 해주는 수단이자 작품의 소재였다. 천경자가 세계적인 문호들의 발자취를 찾아다니며 남긴 화폭과 수필에서 문화예술에 대한 열정과 애정이 드러나는 대목이 종종 발견된다. 끊임없이 인간 본연의 원초적인 원시성을 찾아다니면서도 문명지 유럽과 미국의 문화예술에 심취했던 작가는 섬세한 묘사 위주의 사실적 화풍을 보여주면서도 구도와 색채 변화를 주어 꿈과 사랑, 환상의 세계를 화면에 담아내었다. <흑인째즈(뉴올리앙즈 프리저베이션홀)>(1987)은 뉴올리언스에서 그린 작품이다. 천경자는 1987년 테네시 윌리엄스의 희곡과 영화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의 배경이 되었던 뉴올리언스를 여행했다. 미국 남부 뉴올리언스는 지리적으로 중요한 성격을 갖고 있다. 미국이 독립되기 전 스페인과 프랑스 같은 유럽 강국이 거쳐 갔던 지역이기 때문에 유럽 문화가 남아있는 곳이다. 유럽의 고전음악에 흑인들의 슬픔이 담겨 탄생한 것이 재즈이다. 천경자는 재즈의 발상지 뉴올리언스, 재즈를 대표하는 장소 프리저베이션홀을 찾아갔다. 재즈는 단순히 음악 장르가 아니라 문화이자 역사이기도 하다. 천경자가 뉴올리언스를 찾은 이유는 영화의 배경이기 이전에 미국의 예술과 역사를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 작품은 어두운 장소에서 흑인들이 연주하는 슬픈 선율에 호응하듯 화사하게 옷을 채색하여 화폭에 반전을 연출한 천경자의 색감이 돋보인다.

🔽 출처 : 네이버 이미지 검색 API 검색 결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