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3×33.2cm
한국화
1979
천경자는 한국 채색화의 독자적인 회화양식을 창출한 화가이다. 천경자의 회화는 채색화가 대표적이지만 이외에도 기행회화, 수묵담채화, 삽화, 드로잉 등의 작품들도 많이 남아있다. 1969년부터는 30여 년 동안 수차례에 걸쳐 해외여행을 다녀왔다. 기행회화는 해외여행에서 느낀 감흥과 순간을 포착하여 스케치한 후 채색한 그림들로, 해외여행을 통해 이루어낸 천경자 회화의 독립 장르이다. 그는 1979년 인도와 중남미 기행부터 귀국 후에 치밀하고 견고한 채색작업을 거쳐서 기행회화를 완성시켰다. 여행지에서 깊이 새겨진 이미지들을 벗겨내고 화면에 배치하는 과정을 통해 색채는 보다 깊어지고 선명해졌다. 이로써 기행 초기에는 현장 스케치화들이 많은 반면 여행이 거듭될수록 화려한 색감과 환상적인 화면구성이 돋보이는 완성도 높은 채색화로 고착되었다. 이 과정을 통해서 천경자는 기행회화를 단순히 기록화로 보는 개념에서 벗어나 독특하고 신비한 화면을 창출해냈으며, 채색화의 독립된 장르로 완성시켰다. <페루 구스코 시장>(1979)은 다채로운 색감의 민족적 옷차림과 생활상을 그린 작품이다. 천경자는 젊은 시절부터 원색적 호흡이 가득한 시장을 소재로 그림을 자주 그렸다. 해외여행을 하는 동안 각 지역의 시장을 찾아가 일상을 화면에 담아내곤 했다. 쿠스코 시장에는 인디오 모자를 쓰고 화려한 줄무늬 천에 아이를 업고 다니는 여인들이 많았다. 아이를 업은 여인이 두르고 있는 적?홍?황?흑색의 줄무늬 천은 잉카제국 깃발 색깔이다. 원색 가득한 화면은 화려하고 원시적 색감을 자아내주며, 섬세하게 그려 넣은 천의 문양은 장식성을 강조한다. 천경자는 페루의 홍색을 슬퍼지도록 짙은색이라고 했다. 한(恨) 많은 페루 여인들의 모습이 한국 여성과 닮았으며 한국의 어머니, 자신의 모습을 발견했다. 천경자의 한은 자신이 보고 느끼는 일상에서 항상 존재하며, 작가는 이것을 작품에 이입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