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34cm
한국화
1981
천경자는 한국 채색화의 독자적인 회화양식을 창출한 화가이다. 천경자의 회화는 채색화가 대표적이지만 이외에도 기행회화, 수묵담채화, 삽화, 드로잉 등의 작품들도 많이 남아있다. 1969년부터는 30여 년 동안 수차례에 걸쳐 해외여행을 다녀왔다. 기행회화는 해외여행에서 느낀 감흥과 순간을 포착하여 스케치한 후 채색한 그림들로, 해외여행을 통해 이루어낸 천경자 회화의 독립 장르이다. 천경자는 1980년대 들어서면서 문학과 영화예술의 현장을 찾았다. 그가 학생시절부터 가졌던 남다른 취미는 문학작품과 영화를 즐기는 것이었다. 영화, 연극, 유행가, 춤은 세월이 흐를수록 취미를 넘어선 천경자의 예술적 소양이 되었고, 고독한 삶을 위로 해주는 수단이자 작품의 소재였다. 천경자가 세계적인 문호들의 발자취를 찾아다니며 남긴 화폭과 수필에서 문화예술에 대한 열정과 애정이 드러나는 대목이 종종 발견된다. 끊임없이 인간 본연의 원초적인 원시성을 찾아다니면서도 문명지 유럽과 미국의 문화예술에 심취했던 작가는 섬세한 묘사 위주의 사실적 화풍을 보여주면서도 구도와 색채 변화를 주어 꿈과 사랑, 환상의 세계를 화면에 담아내었다. <하와쓰>(1981)는 영국 요크셔지역 하워스의 브론테 가(家)를 그린 작품이다. 평소 문학작품에 심취했던 천경자는 소설 『폭풍의 언덕』의 저자 에밀리 브론테의 흔적을 찾아 여행했다. 브론테의 분신인 주인공 히스클리프의 불행과 고독, 사랑의 향수에 자신의 내면을 대입시켰고 작품의 소재로 연결시켰다. 하워스는 고색창연한 돌로 포장된 언덕길 양편에 옛 돌집들이 줄줄이 서있는 조그만 언덕마을이다. 천경자는 폭풍의 언덕으로 가기에 앞서 브론테 집을 스케치했다. 화면에는 돌담 뒤로 보이는 브론테 가, 드넓은 회색빛 하늘과 맞닿은 평원이 펼쳐져있다. 겨울이라 말라버린 검붉은 관목 히스는 분홍빛으로, 평원은 녹색으로 표현했다. 분홍빛과 녹색은 스산한 기운과 계절감을 벗어나 평화로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지평선을 화면 상단에 설정하여 작은 화폭임에도 불구하고 시야를 멀리 확장시켜준다. 심미적 색채와 구도는 천경자의 탁월한 조형감각을 드러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