갠지스江에서 / 천경자

출처 : 서울 연린데이터광장 서울시립미술관 소장품 정보 API 를 사용중 입니다.
천경자는 한국 채색화의 독자적인 회화양식을 창출한 화가이다. 천경자의 회화는 채색화가 대표적이지만 이외에도 기행회화, 수묵담채화, 삽화, 드로잉 등의 작품들도 많이 남아있다....

자세히...

갠지스江에서 / 천경자

   24.5×33cm

   한국화

  
1979

 
천경자는 한국 채색화의 독자적인 회화양식을 창출한 화가이다. 천경자의 회화는 채색화가 대표적이지만 이외에도 기행회화, 수묵담채화, 삽화, 드로잉 등의 작품들도 많이 남아있다. 1969년부터는 30여 년 동안 수차례에 걸쳐 해외여행을 다녀왔다. 기행회화는 해외여행에서 느낀 감흥과 순간을 포착하여 스케치한 후 채색한 그림들로, 해외여행을 통해 이루어낸 천경자 회화의 독립 장르이다. 그는 1979년 인도와 중남미 기행부터 귀국 후에 치밀하고 견고한 채색작업을 거쳐서 기행회화를 완성시켰다. 여행지에서 깊이 새겨진 이미지들을 벗겨내고 화면에 배치하는 과정을 통해 색채는 보다 깊어지고 선명해졌다. 이로써 기행 초기에는 현장 스케치화들이 많은 반면 여행이 거듭될수록 화려한 색감과 환상적인 화면구성이 돋보이는 완성도 높은 채색화로 고착되었다. 이 과정을 통해서 천경자는 기행회화를 단순히 기록화로 보는 개념에서 벗어나 독특하고 신비한 화면을 창출해냈으며, 채색화의 독립된 장르로 완성시켰다. <갠지스江에서>(1979)는 해가 뜰 무렵 갠지스 강변에 몰려든 힌두교도들을 그린 작품이다. 신성한 곳으로 알려진 갠지스강 상류에는 화장 차례를 기다리는 사람들, 승려들, 거지들, 꽃을 파는 여인들, 남녀할 것 없이 몸을 씻고 해 뜨는 쪽을 향해 기도하는 사람들, 화장터 주변에 놀고 있는 개나 소들 등 갖가지 광경이 펼쳐진다. 죽은 자와 살아있는 자, 동물 등 모든 것이 공생공존하고 있다. 천경자는 갠지스강이 지구촌에서 없어서는 안 될 유일한 원시에 대한 향수와 인간 본능을 달래주는 태반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광경을 보면서 자신의 인생을 다시 돌아보았다. 작가는 시야에 포착된 장면들을 하나의 화면에 구성했다. 멀리보이는 사원을 배경으로 인도 사람들의 갖가지 일상을 원근과 관계없이 상하좌우 나열하듯 그려 넣었다. 화면은 평면화, 단순화된 듯 보이지만 색면에 의한 음영처리로 깊이감을 주고 있다. 채색면 사이사이에 펜으로 그린 스케치 선이 드러난다. 귀국 후에 채색작업이 이루어지면서 기행회화가 현장스케치에서 채색화로 전환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 출처 : 네이버 이미지 검색 API 검색 결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