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갱-뮤지엄에서 / 천경자

HOME > PHOTO > 서울시립미술관 > 고갱-뮤지엄에서
출처 : 서울 연린데이터광장 서울시립미술관 소장품 정보 API 를 사용중 입니다.
천경자는 한국 채색화의 독자적인 회화양식을 창출한 화가이다. 천경자의 회화는 채색화가 대표적이지만 이외에도 기행회화, 수묵담채화, 삽화, 드로잉 등의 작품들도 많이 남아있다....

자세히...

고갱-뮤지엄에서 / 천경자

   27×20cm

   한국화

  
1969

 
천경자는 한국 채색화의 독자적인 회화양식을 창출한 화가이다. 천경자의 회화는 채색화가 대표적이지만 이외에도 기행회화, 수묵담채화, 삽화, 드로잉 등의 작품들도 많이 남아있다. 1969년부터는 30여 년 동안 수차례에 걸쳐 해외여행을 다녀왔다. 기행회화는 해외여행에서 느낀 감흥과 순간을 포착하여 스케치한 후 채색한 그림들로, 해외여행을 통해 이루어낸 천경자 회화의 독립 장르이다. 1969년부터 1974년까지의 기행 스케치화는 여행지에서 빠르게 펜이나 연필로 그린 후 수성물감을 사용하여 엷게 채색했다. 1969년 남태평양 군도와 유럽에서 그린 기행회화는 빠르게 펜이나 연필로 그린 후 엷게 채색한 선묘 중심의 데생력이 돋보인다. 1974년 아프리카 기행부터는 원시적인 미감을 반영하여 스케치 선묘 위에 과슈로 채색하였고, 기행회화는 선명도 높은 원색적인 화면으로 변모되었다. 기행 초기에는 현장 스케치화들이 많은 반면 여행이 거듭될수록 화려한 색감과 환상적인 화면구성이 돋보이는 완성도 높은 채색화로 고착되었다. 이 같은 과정을 통해서 천경자는 기행회화를 단순히 기록화의 개념에서 벗어나 독특하고 신비한 담긴 화면을 창출해냈으며, 채색화의 독립된 장르로 완성시켰다. <고갱 뮤지엄에서>(1969)는 고갱미술관에 놓여있던 유품을 스케치한 작품이다. 천경자는 폴 고갱의 흔적을 찾기 위해 타히티 여행을 선택했다. 천경자가 고갱의 집과 미술관을 방문했을 때 스케치북, 물감 튜브, 붓, 나이프, 장갑 등의 유품과 인쇄물만 남아있었다. 타히티 사람들은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갱을 이용할 뿐이었고, 천경자는 그 곳 사람들의 무관심한 태도를 안타까워했다. 작가는 유품의 빛깔에서 풍기는 고갱에 대한 애상, 죽음, 외로움 등에 대한 감상에 빠져들어 유품을 스케치했다. 유품에서 고갱의 체취를 느끼면서 머뭇거림 없이 속필로 그려간 선묘에서 천경자의 필력이 드러난다.

🔽 출처 : 네이버 이미지 검색 API 검색 결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