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37.5cm
한국화
1972
천경자는 1972년 베트남 전쟁 종군화가단(공식 명칭 ‘국방부 주관 월남전 한국군 전선시찰 화가단’)의 일원으로 활약했다. 1972년 6월 문공부는 파월 국군의 용맹한 활약상을 재현하기 위해 국방부의 협조를 얻어서 화가 이마동을 단장으로 10명의 중진화가를 베트남에 파견했다. 천경자는 김기창, 박영선, 김원, 임직순과 함께 베트남 파병부대였던 B지구 맹호부대에 배속되었다. 종군화가단은 베트남에 머물면서 전투 현장을 방문하였고, 그 현장을 작품에 담아서 같은 해 12월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월남전 기록화 전시회≫에 전시했다. 출품된 대부분의 작품들은 화가 개인의 화풍과 개성을 살리지 못하고 이전에 제작된 전쟁기록화를 답습한 반면, 천경자는 평소 즐겨 그리는 소재를 반영하여 환상적이고 이국적인 풍정을 화면에 담았다. 천경자는 전쟁의 현장에서 객관적 관찰에 의한 스케치와 더불어 해외 스케치 여행에서 경험했던 감수성을 반영하여 개성 있는 전쟁기록화를 구현해냈다. <헬기 수송작전>(1972)은 베트남 638고지, 안케패스에서 전투작전에 투입된 헬리콥터들을 포착하여 그린 작품이다. 해안선과 평행하게 위치한 안남산맥 하늘에는 헬리콥터들이 수송작전을 수행하고 있다. 천경자는 전투작전을 보고 “빼방쇠가 분홍 구름이 되어 퍼지듯 전차들이 붉은 연기를 뿜고 가는 모습”이라고 하였다. 긴장감 가득한 고지에 휘날리는 전진(戰塵)이 무색하게 전쟁 현장을 진분홍꽃 빼방쉐에 비유했다. 긴박감 넘치는 전투 현장에서의 구름 한 점 없이 평온한 하늘과 진분홍꽃은 천경자의 감수성이 반영된 표현이다. 천경자는 타국에서 전쟁 상황에 대한 객관적 묘사와 기록위주의 표현보다 주관적 감정을 화폭에 담아내었다. 전쟁 현장에서 목격했던 순간들을 생생하게 담아낸 현장스케치이지만, 전쟁의 참상을 드러내기보다는 특유의 감수성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