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38cm
한국화
1972
천경자는 1972년 베트남 전쟁 종군화가단(공식 명칭 ‘국방부 주관 월남전 한국군 전선시찰 화가단’)의 일원으로 활약했다. 1972년 6월 문공부는 파월 국군의 용맹한 활약상을 재현하기 위해 국방부의 협조를 얻어서 화가 이마동을 단장으로 10명의 중진화가를 베트남에 파견했다. 천경자는 김기창, 박영선, 김원, 임직순과 함께 베트남 파병부대였던 B지구 맹호부대에 배속되었다. 종군화가단은 베트남에 머물면서 전투 현장을 방문하였고, 그 현장을 작품에 담아서 같은 해 12월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월남전 기록화 전시회≫에 전시했다. 출품된 대부분의 작품들은 화가 개인의 화풍과 개성을 살리지 못하고 이전에 제작된 전쟁기록화를 답습한 반면, 천경자는 평소 즐겨 그리는 소재를 반영하여 환상적이고 이국적인 풍정을 화면에 담았다. 천경자는 전쟁의 현장에서 객관적 관찰에 의한 스케치와 더불어 해외 스케치 여행에서 경험했던 감수성을 반영하여 개성 있는 전쟁기록화를 구현해냈다. <떠나는 병사와 월남아가씨들>(1972)은 베트남에서 한국군의 철군 장면을 그린 작품이다. 한국으로 돌아가는 배를 타기 위해 줄지어 있는 군인들, 전경에는 떠나가는 군인들과 인사 나누는 모습을 묘사했다. 현장을 기록하듯 빠르게 스케치해 나간 간결한 선묘가 돋보인다. 전투 상황에서 목격했던 순간들뿐만 아니라 다양한 현장을 생생하게 담아냈다. 전쟁의 참상을 드러내기보다는 작가 특유의 감흥을 반영한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