쟝루이-바로 / 천경자

출처 : 서울 연린데이터광장 서울시립미술관 소장품 정보 API 를 사용중 입니다.
천경자는 한국 채색화의 독자적인 회화양식을 창출한 화가이다. 천경자의 회화는 채색화가 대표적이지만 이외에도 기행회화, 수묵담채화, 삽화, 드로잉 등의 작품들도 많이 남아있다....

자세히...

쟝루이-바로 / 천경자

   25×31cm

   한국화

  
1969

 
천경자는 한국 채색화의 독자적인 회화양식을 창출한 화가이다. 천경자의 회화는 채색화가 대표적이지만 이외에도 기행회화, 수묵담채화, 삽화, 드로잉 등의 작품들도 많이 남아있다. 1969년부터는 30여 년 동안 수차례에 걸쳐 해외여행을 다녀왔다. 기행회화는 해외여행에서 느낀 감흥과 순간을 포착하여 스케치한 후 채색한 그림들로, 해외여행을 통해 이루어낸 천경자 회화의 독립 장르이다. 1969년부터 1974년까지의 기행 스케치화는 여행지에서 빠르게 펜이나 연필로 그린 후 수성물감을 사용하여 엷게 채색했다. 1969년 남태평양 군도와 유럽에서 그린 기행회화는 빠르게 펜이나 연필로 그린 후 엷게 채색한 선묘 중심의 데생력이 돋보인다. 1974년 아프리카 기행부터는 원시적인 미감을 반영하여 스케치 선묘 위에 과슈로 채색하였고, 기행회화는 선명도 높은 원색적인 화면으로 변모되었다. 기행 초기에는 현장 스케치화들이 많은 반면 여행이 거듭될수록 화려한 색감과 환상적인 화면구성이 돋보이는 완성도 높은 채색화로 고착되었다. 이 같은 과정을 통해서 천경자는 기행회화를 단순히 기록화의 개념에서 벗어나 독특하고 신비한 담긴 화면을 창출해냈으며, 채색화의 독립된 장르로 완성시켰다. <쟝루이 바로>(1969)는 배우 장 루이 바로가 연극 <라블레>에서 공연하는 모습을 스케치한 작품이다. 곱슬 거리는 머리카락, 날카롭고 선이 가는 얼굴, 뾰족한 콧날을 가진 장 루이 바로의 모습을 포착하여 거침없는 선으로 표현했다. 무대 위에서 쭉 뻗고 누웠다가, 앉았다가, 코밑에 손을 올리는 장 루이 바로의 연기 모습을 하나의 화면에 담아낸 천경자의 조형감각이 돋보인다. 화면 한쪽에는 특유의 글 솜씨로 배우의 모습을 빼곡하게 적어놓았다. 스케치는 동경 유학시절 영화<아름다운 청춘>을 보았던 추억과 관련된다. 천경자는 학생시절부터 문학작품과 영화를 즐겼고, 이는 자신의 고독한 삶을 위로해주는 수단이었다. 해외여행을 다니면서 젊은 날의 추억을 찾고 스케치하기 위해 어김없이 공연 관람을 했다. 춤과 공연 장면은 해외여행에서 주요한 그림 소재였다.

🔽 출처 : 네이버 이미지 검색 API 검색 결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