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개별꽃

출처 : 국립수목원 어린이 생물도감 API 를 사용 중 입니다.

큰개별꽃 / Pseudostellaria palibiniana (Takeda) Ohwi

  식물

  개별꽃속 / Pseudostellaria

  석죽과 / Caryophyllaceae

요약설명 : 석죽과 여러해살이풀로 전국의 산지에서 자란다.
분포지역 : 전국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크기 : 높이 10~20cm정도로 자란다.
꽃색 : 백색
개화기 : 5월,6월,4월
잎은 마주나기하고 줄기 아랫부분에 달려 있는 것은 주걱 모양 또는 거꿀피침모양이다. 밑부분이 좁아져서 잎자루처럼 되고 털이 있다. 줄기 윗부분에 달려 있는 두 쌍의 잎은 특별히 크고 마디 사이가 짧다. 십자 모양으로 배열되며 넓은 달걀 모양이고 둔두 또는 예두이다. 밑부분이 급격하게 좁아져서 잎자루처럼 되며 털이 없다. 줄기의 마디 사이가 짧아서 잎이 돌려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4~6월이 되면 원줄기 끝에 1개의 하얀 꽃이 위를 향해 달린다. 꽃자루에는 털이 없다. 꽃받침은 초록색이고 5~7개로 갈라지며 털이 조금 있다. 꽃잎은 넓은 거꿀피침모양이고 둔두이다. 수술은 10개이며 꽃가루주머니는 노란색이다. 씨방은 6개의 뾰족한 모서리가 있는 달걀 모양이고 3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다. 대부분의 경우, 땅과 가까운 곳에 닫힌꽃이 달리지만 윗부분까지 올라가는 수도 있다. 이때, 닫힌꽃은 다른 꽃과 꽃가루를 주고 받지 않고 씨앗을 맺는 꽃을 말한다.
열매는 삭과고 4갈래로 갈라져 작은 씨앗이 나온다.
줄기는 마디 사이가 짧으며 털이 두 줄로 돋고, 하얀 털이 있다.
양 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의 하얀 덩이뿌리가 있다.
전국 산지에 습기 있는 축축한 나무 숲의 아랫부분이나 계곡 주변에서 나고 자란다. 포기나누기를 하여 번식시킨다. 꽃이 별모양으로 생겼으며 잎이 크기 때문에 ‘큰개별꽃’이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