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대으아리

출처 : 국립수목원 어린이 생물도감 API 를 사용 중 입니다.

외대으아리 / Clematis brachyura Maxim.

  식물

  으아리속 / Clematis

  미나리아재비과 / Ranunculaceae

요약설명 : 미나리아재비과 낙엽 활엽 반관목으로 우리나라의 경기도와 강원도 중부를 기준으로 한 북쪽 지역에서 자란다. 한반도에서만 볼 수 있는 고유종이다.
분포지역 : 경기도(강원도 중부 이북). 한반도 고유종.
형태 : 낙엽 활엽 반관목.
크기 : 높이 1m.
꽃색 : 백색
개화기 : 5월,6월
잎은 마주나기하고 3~5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다. 잎자루는 길고 덩굴손처럼 다른 물체를 감는다. 작은 잎은 달걀 모양, 타원 모양 또는 긴 타원 모양이고, 원저 또는 밑부분이 넓고 뾰족한 모양이다. 양면에 털이 없으며 윤기가 있고 가장자리가 대부분 밋밋하다.
꽃은 암꽃과 수꽃이 한그루에 피거나 각각 다른 그루에 핀다. 6월 초~9월 말 가지 끝에 1~3개씩 달린다. 꽃덮이조각은 4~5개이며 거꿀피침형이다. 하얀색을 띠며, 옆으로 퍼지고 털이 없다. 수술은 많지만 암술이 비교적 적다.
열매는 수과고 달걀 모양이며 털이 없고 날개가 있다. 끝에 돌기같이 짧은 암술대가 남아 있다. 9월~10월에 익는다.
줄기는 대부분 곧게 서고 세로줄이 있다. 뿌리를 약재로 쓸 때 위령선(威靈仙)이라 부르기도 한다.
산지에서 자란다. 햇빛이 강한 남쪽의 거친 땅에서 무리 짓지 않고 혼자 나온다. 신갈나무, 졸참나무, 소나무, 참싸리 등과 같이 자란다. 추위와 건조에는 강하지만 무리 지어 자라는 성질은 약하다. 그늘진 곳이나 축축한 곳에서는 적응하지 못한다. 포기나누기하거나 씨앗을 뿌리는 등의 방법으로 번식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