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성비
가격 대비 성능이 주는 효용."가격 대비 성능"의 줄임말이다.
가심비
가격 대비 심리적 만족도가 주는 효용.
가즈아
도박이나 투자에서 긍정적인 기대를 표현하는 감탄사이다. 소망을 말할 때 사용되는 단어로 의미가 확장되었다
갈비
갈수록 비호감
갑분싸
"갑자기 분위기 싸해짐"의 줄임말.
갑통알
‘갑자기 통장을 보니 알바(아르바이트)를 해야겠다’를 줄인 신조어로 통장 잔고가 얼마 남지 않았을 때 쓰이는 말이다.
갑툭튀
"갑자기 툭 하고 튀어나온다"의 줄임말이다.
강퇴
「명사」 "강제 퇴장", "강제 퇴학"의 준말. 채팅, 인터넷 카페 따위에서 사람을 강제로 쫓아내는 행위를 가리킨다.
개드립
개드립 : 「명사」디씨인사이드 코미디갤러리에서 태생된 단어로서 애드립(adlib)과 폄하의 의미를 가진 '개'의 합성어. 상대방이 (정도가 심한)터무니없는 말을 하거나 진실되지 못한 발언을 할 때 (개)드립이라고 일축한다.
개이득
개 + 이득. "매우 이득을 보았다"는 뜻이다.
개피(또는 딸피)
「명사」 주로 FPS게임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총을 사용해 적에게 타격을 주었으나 죽지는 않고 피가 많이 닳았다는 뜻, 피가 조금밖에 없다는, 죽기 일보직전이라는 말이다.[102]
갠전
갠전:'개인끼리 하는 게임판'을 뜻하는 신조어이다. 반댓말로 '팀전'이 있다.
갱
비디오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의 "Ganking"이란 단어에서 유래한 용어로 급작스러운 습격을 의미한다.
걸조
걸어다니는 조작상 = 꽃미남
검열삭제
검열삭제 :글을 쓸 경우, 19금에 관련된 내용일 경우 대놓고 쓰지 않고 돌려서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보통 작성자가 '직접 검열해서 삭제한다'는 식의 표현으로 자주 사용된다.
고고씽
(Go Go 씽, 고고싱 혹은 ㄱㄱㅆ): 재빠르게 가는 모습을 표현하기 위해 영어 "Go"와 소리 "씽"을 합쳐 만든 말이라는 설도 있으며, 싱하형의 싱을 따와서 Go Go(하지 않으면) 싱(하형이 가만두지 않는다.)이라는 말을 만들었다는 설이 있다. . 고고싱이 처음 탄생한 인터넷 사이트와 자주 사용되었던 커뮤니티를 보아 후자가 더욱 설득력이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전자는 인터넷 발단과 커뮤니티에 대한 무지가 낳은 소위 주관적인 해석으로 인터넷 누리꾼 사이에서는 이미 설득력을 잃었으며 특정게임(카트라이더 류의 모든 이용자가 준비되었을 경우 시작되는 게임류)이용자들이 자주 쓴다는 이유만으로 이러한 자의적인 해석이 나왔을 것이라고 추정되고 있다. "Go"가 두번 붙은 이유는 영어권에서 빨리 빨리 움직여라는 의미로 연달아 말하는 말버릇과 그러한 말이 게임의 음성 대사에서 나온것에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주로 계획하거나 혹은 충동적으로 움직일 때 '함께 빨리 가자'라는 뜻이나 신나게 어떤 일을 시작한다는 뜻으로 쓰인다. 고고씽의 출처는 인터넷 속어 문화로 유명한 디시인사이드로 알려져 있으며 , 젊은이들 사이에서 평상시 대화와 블로그, 인터넷 메신저에서도 쓰이고 있다.
고답이
고구마 잔뜩 먹은 것처럼 답답하게 행동하는 사람을 일컫는 말
관광
관광: 대결 또는 시합에서 압도적인 격차로 이긴 것을 뜻한다. 디시인사이드 스타크래프트 갤러리에서 유래되었다. 외국에서는 압도적으로 패배한 시합이나 대결을 일방적인 싸움에 비유하여, RAPED(강간당하다) 라는 말이 쓰였고, 이를 본따 사용해, "저 강간 당했습니다". 등의 표현이 퍼지게 되었다. 강간의 부정적인 의미 때문에 발음이 비슷한 관광으로 변하게 되었고, 현재까지 오게 되었다. 반대말로 역관광이 있다.
광클
미치도록 클릭함, 빛의 속도로 클릭함
국룰
'국민 룰'의 줄임말로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정해진 규칙을 말한다. 예를 들면 '비 오는 날 막걸리와 부침개는 국룰이지' 등으로 쓸 수 있다.
국뽕(국가 + 히로뽕)
자신의 국가의 소속감에 대한 자신감이다.
군싹
'군침이 싹 돌다'의 줄임말. 군침이 돌 만큼 맛있거나 좋아 보이는 것을 수식할 때 쓴다.
귀사
귀여운척 사기치다
귀요미
귀요미:「형용사」 '귀엽다'라는 의미이다. 종종 명사로 '귀여운 사람' 을 가리키기도 한다 그 어원을 추적해 나가 본다면 원래 명사 '귀염'에 사람의 뜻을 나타내는 의존명사 '이'가 붙어 '귀염이'였는데, 단어의 귀염성을 더욱 강조하기 위해 '귀요미'로 변했음이 확실해 보인다. 명사로 쓰이며 뜻은 '귀여운 사람'이라는 뜻이다. 단어 자체가 형용사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귀요미하다'의 형식을 가지고 형용사로도 쓰인다. 하지만 변형된 언어이고 임의적으로 줄인 말인 만큼 반대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데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 '귀여운 척하는 요망한 미친 사람'
귀차니즘
귀차니즘:「명사」: '귀찮다'라는 동사와 '~nism'이라는 특정 사상을 지칭하는 접미사의 뜻이 만난 합성어. 만사가 귀찮아 평소에도 그냥 귀찮을 경우에 쓰인다.
글설리
글설리:「명사」글쓴이를 설레게 하는 리플. 일반적으로 전혀 답글이 달리지 않을것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할때 사용한다. '설리'로 쓰이기도 한다.
금수저
부모의 연 소득과 가정 환경 등에 부족함이 없는 가정에서 태어나 호의호식하는 사람이다.
급식체
학교에서 급식을 먹는 세대인 10대 청소년이 쓰는 말투 중 하나이다.[3] 줄임말이나 초성체, 유명 크리에이터의 유행어를 섞어서 사용한다
급식충
(급식 + -충): 학교 생활에서 급식을 먹는 10대 청소년을 비하하는 표현이다
김여사
김여사:「명사」사장의 부인이 자가용을 끌고다닌다는 데에서 유래한 김여사는 운전을 못하는 여성을 광범위하게 지칭하는 말로 발전했다. 여성 운전자가 도로에서 쩔쩔매거나, 황당한 사고를 냈을 때 '김여사'라는 호칭을 쓴다.
김치녀
한국 여성을 비하하는 말이다.
깨알같다
깨알같다:「형용사」: 무한도전에서 박명수가 '깨알 같은 재미를 드리겠습니다'라고 한 것에서 시작되었으며 규모는 작으나 임팩트는 그보다 훨씬 큰 것을 표현할 때 쓴다.
꾸안꾸
꾸민듯 안꾸민듯의 줄임말
낄끼
낄때껴라
낄끼빠빠
"낄때 끼고 빠질때 빠져라"를 줄여 이르는 말. (눈치껏 행동하라는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