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굴
포트리스에서 유래한 말이지만 다구리에서 파생된 말로 여러 명이서 한 명을 공격한다는 뜻이다.
단언컨대~~
단언컨대~~ : 이병헌이 광고 CF에서 베가 광고에 '단언컨대, 메탈은 가장 완벽한 물질입니다'라고 하여 화제가 되었다. 이후 여러 변형어가 등장했다. 보통 '단언컨대~~' 뒤에 쓰인다.
단짠(단맛 + 짠맛, 달고 짠 맛)
단맛과 짠맛을 모두 가진 음식에 대해서나, 단 음식과 짠 음식을 번갈아 먹는 상황에 사용한다.[59]
달린다
달린다: 「동사」 게시판에서 특정한 주제로 계속 게시물을 올린다고 예고할 때 또는 한 게시물 안에 다량의 사진등을 올릴 때 사용한다.
답정너
답은 정해져 있고 너는 대답만 해라
당모치
당모치는 ‘당연히 모든 치킨은 옳다’라는 말의 줄임말이다. 최근 MZ세대들이 선호하는 식품인 치킨을 가리켜 말하는 신조어다.
대깨-(대가리 깨져도 -)
좌파, 우파에 대한 맹목적인 지지 및 지지자들을 일컫는 말인 "대깨문, 대깨윤"에서 유래된 접두어로, 접미어 "빠"와 마찬가지로 어떤 인물이나 대상에 대한 맹목적인 지지자들이다. 기본형인 대깨문, 대깨윤 외에도, "대깨근"(이근의 맹목적인 팬), "대깨트"(도널드 트럼프의 맹목적인 팬), "대깨옵"(오버워치의 맹목적인 팬) 등 여러 파생형이 있다.
대인배
대인배: 「명사」럭키짱의 작가 김성모가 '소인배'의 반대말로 지어낸 단어라고 한다. 즉, 원래 국어사전에 있는 단어는 아니다. [4] 그릇이 크고 아량이 넓으며 신중하고 타인에 대한 배려가 깊은 사람을 의미한다.
덕통사고
'덕후' + '교통사고'
덕후, 덕, 오덕후, 오덕, 씹덕
「명사」 일본에서 마니아라는 뜻으로 쓰이는 이은지를 한자어처럼 변형한 말로, 어떤 분야에 집중하는 정도가 강한 사람을 가리킨다. 2005년 디시인사이드 애니메이션 갤러리에서 ‘오덕후’라는 단어를 처음으로 사용하였다.[113] 덕후로서 하는 일을 덕질이라고 한다.[114][115]
돈쭐내러 가자
'돈으로 혼쭐을 내주자'라는 뜻으로, 선행을 하는 기업의 제품을 구매해 돈으로 혼내준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돋다
돋다: 「동사」 '소름이 돋다'라는 말 앞에 어떤 단어나 말이 붙어 사용된다. ‘레알 ~ 돋다’로 응용되어 쓰이기도 한다.
동사나사
동기 사랑은 나라 사랑
득템
'획득'의 '得' + 'Item'
듣보잡
「명사」 ‘듣지도 보지도 못한 잡것(잡놈)’의 준말로, 대중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존재를 낮잡아 이르는 말.
딸내미바보
'팔불출'과 같은 의미지만 일본어에 해당하는 '오야바까 親バカ '를 '팔불출'로 해석하려니 정말 팔불출처럼 뭔가 모자라 있는 단어라서, 효율적? 으로 해석하고자 만들어낸 신조어.
딸바보
딸만 아는 바보같이 딸을 지극히 사랑하는 사람이다
떡밥
떡밥 : 「명사」: 실제 낚시에서 고기를 낚기위해 미끼격으로 낚시바늘에 달게되는 것에서 유래된 용어. 특정 집단에서 화젯거리가 있을 경우 이를 떡밥이라 한다.
떡실신
떡실신: 「명사」 경기에서 패배하거나, 어떠한 일이 발생하여 실신한다는 의미이다.
똥꼬충
(똥꼬 + -충): 동성애자 중 대부분 게이를 비하하는 단어.